목차
서문 세상을 꿰뚫는 안목의 힘, 인문학1부 인문학의 의미삶을 느끼게 하는 인문학인문학적 사고를 하라인문학은 통찰의 기반이다자기 정체성 발견을 위한 지적 활동2부 인문학의 역사고대 인문학의 탄생 및 발생 동기암흑기, 중세의 인문학근대 인문학의 탄생전환기를 맞이한 인문학, 그리고 위기3부 인문학의 필요성인문학을 가르쳐야 하는 세 가지 이유인문학을 가르치는 효과적인 방법시대별 인문학이 갖는 의미인문학을 특별히 공부해야 하는 사람들인문학이 곧 경쟁력이다통섭과 융합 시대의 인문학4부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인문학자기계발의 밑거름이 되는 인문학인문학의 매력인문학을 생활에 접목시켜라돈과 행복에 대한 인문학적 사고방식5부 인문학 교양을 길러라인문학 교양이란 무엇인가?삶에 대한 관심과 안목을 길러주는 인문학 교양대중문화와 고급문화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현대 인문학의 의미와 사명인문학 교양을 기르는 방법6부 인문학 공부, 문학 어떻게 읽을 것인가?문학 읽기의 기본 원칙호메로스, 고대 그리스의 대서사시 《일리아스》·《오디세이아》아우구스티누스, 정신적 자서전의 고전 《고백론》대니얼 디포, 아이들의 선망을 그린 《로빈슨 크루소》존 버니언, 종교 서적 《천로역정》미겔 데 세르반테스, 근대소설의 효시 《돈키호테》조너선 스위프트, 풍자소설 《걸리버 여행기》프란츠 카프카, 실존주의의 소설 《변신》나관중, 라이벌 열전 《삼국지연의》7부 인문학 공부, 역사 어떻게 들여다볼 것인가?역사 공부의 기본 원칙헤로도토스, 탐구의 기록 《역사》니콜로 마키아벨리, 반도덕적 조언 《군주론》존 스튜어트 밀, 타인 위해의 원칙 《자유론》사마천, 실존적 고뇌의 기록 《사기》한비, 리더의 참모습 《한비자》오긍, 우두머리의 마음가짐 《정관정요》인류에게 큰 영향을 준 사건과 사상8부 인문학 공부, 철학 어떻게 사고할 것인가?철학 접근의 기본 원칙아리스토텔레스, 선을 탐구하는 《논리학》블레즈 파스칼, 천재의 종교적 고뇌의 산물 《명상록》프리드리히 니체, 전통을 향해 던진 폭탄선언 《도덕의 계보학》노자, 무위자연의 사상 《도덕경》공자, 지극히 정의로운 세계를 꿈꾸는 《논어》맹자, 군주들의 불온서적 《맹자》장자, 초인의 철학 《장자》9부 인문학 공부, 희곡 어떻게 접할 것인가?인간 행동을 모방하는 희곡희곡의 네 가지 종류희곡을 쓰는 기술셰익스피어, 4대 비극의 카타르시스10부 인문학 공부, 미술 어떻게 볼 것인가?미술 감상의 의미미술 감상의 요령세계 걸작 감상하기11부 인문학 공부, 음악 어떻게 들을 것인가?지적인 음악 감상자가 되라음악을 들을 때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음악적 소리를 들을 줄 아는 내적인 귀문학 작품을 통해 다시 듣는 명곡들12부 한국의 인문학한국 인문학이 안고 있는 문제점우리 인문학의 미래이중환, 인문지리적 접근 지리서 《택리지》안확, 민족사에 대한 강한 긍정 《조선문명사》박렬, 실천적 행동주의 《신조선혁명론》신남철, 현실 참여의식을 강조한 《역사철학》김동석, 비극적 지식인 《부르주아의 인간상》백남운, 소련 여행기 《쏘련인상》배성룡, 농민의, 농민을 위한, 농민에 의한 《농민독본》혜초, 내면의 탐구 《왕오천축국전》이황, 세상살이의 필수 덕목 《성학십도》김시습, 한국 전기체 소설의 효시 《금오신화》작자 미상, 민간설화의 집성 《춘향전》허균, 혁명사상의 작품화 《홍길동전》박태원, 모더니즘소설의 대표작 《천변풍경》이광수, 한국최초의현대장편소설 《무정》13부 또 다른 인문학, 만남의 미학만남이라는 인생의 미학정도전과 이성계의 만남흥선대원군 이하응과 조대비의 만남롬멜과 히틀러의 만남《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저자 마거릿과 남편 마시의 만남제갈량과 유비의 만남부록 인문학 속의 인문학참고문헌Copy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