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b>고전 속에 미래가 있다!</b><br><br> 고전은 인류가 오랫동안 쌓아 온 소중한 지적 유산이다. 지적 유산은 현재를 세우는 기초가 되며 희망찬 미래를 여는 자산이 된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를 알기 위해서, 그리고 미래를 알기 위해서 고전을 이해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논어』는 유가의 시조인 공자의 가르침을 담은, 동양 철학의 근간이 된 유교 사상의 진수라고 할 수 있겠다. 『논어』란 ‘논하고 말하다’라는 뜻이다. 공자와 제자들이 함께 토론하고 대화하여 얻은 가르침이라는 뜻이다. 공자와 제자들이 나눈 짧은 문답 속에 담긴 넓디넓은 진리를 매일 아침 한 구절씩 만나 보자. 이 책은 특히 한글 번역본과 함께 한문 원어 논어와 영역본 논어를 함께 구성해 다양한 언어로 논어를 공부하면서 읽을 수 있게 만들었다.
저자소개
공자(孔子)는 춘추시대 말기인 B.C.551년, 현재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 지방인 노(魯)나라의 작은 마을인 추읍( 邑)에서 태어났다. 이 때는 인도의 석가모니가 태어난지 10여년 뒤이고, 소크라테스가 태어나기 얼마 전 시기에 해당한다. 공자는 은(殷)나라 왕족의 몰락한 후예의 집안에서 출생했다고 전해지는데, 그의 아버지는 급무사였던 숙량흘(叔梁紇)이었고,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훨씬 나이가 어린 안징재(顔徵在)였다. 아버지는 제(齊)나라와의 싸움에서 군공(軍功)을 세운 부장(部將)이었다. 공자의 어머니 안징재는 이구산(尼丘山)에 남몰래 치성을 드려 공자를 낳았고 공자의 머리가 움푹 들어갔기 때문에 공자의 이름을 구(丘), 자를 중니()라고 하였다고 한다. 공자가 태어날 때 그의 집안은 불우하였고 세 살 때에 아버지를 여의었기 때문에 매우 가난하고 외롭게 자랐다. 아버지가 돌아갔을 때 장례식마저 제대로 치르지 못할 정도였던 모양이다. 당시 공자의 집안은 몰락하여 겨우 벼슬을 할 수 있는 계급인 사(士)에 속해 있었다. 사계급은 위로는 귀족과 대부, 아래로는 서민의 중간에 있어서 벼슬살이를 하지 않으면 매우 가난한 생활을 할 수 밖에 없는 존재였다. <br><br>공자 나이 24살 되던 기원전 528년에 공자의 어머니는 40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어머니를 방(防) 땅에 아버지와 합장하여 묻고 삼년상을 지낸 뒤 또 2, 3년 지나서야 다시 배우고 가르치는 일을 계속했다. 공자가 꿈꾸던 세상은 예(禮)와 덕(德)과 문(文)이 지배하는 사회였다. 그래서 공자는 그러한 이상을 실현한 주(周)나라를 동경하였고, 그 반대로 당시의 권세 있는 대부(大夫)들이 제후(諸侯)들을 무시하고 권력을 농단하던 사태를 못마땅하게 생각하였다. 노나라의 창시자로 주왕조(周王朝) 건국의 공신이기도 했던 주공(周公)을 흠모하여 그 전통적 문화습득에 노력하게 된 공자가 정치에 관여하게 된 것은 필연적인 것이었다. 공자가 살던 당시 춘추시대에는 국가간이나 나라안이나 간에 약육강식의 힘의 논리가 횡행하여 온갖 명목의 전쟁과 난리가 연이어 일어나 민중들은 피폐할 대로 피폐해지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인(仁)의 실천, 곧 백성을 사랑하는 것을 자기의 임무로 생각했던 공자로서는 그러한 현실을 목도하고서도 책이나 읽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에만매달려 있을 수는 없었다. 그래서 그는 정치에 관여하게 되었다. 당시의 정치가들에게 자기의 덕치주의(德治主義)를 설파하기 위해 수레를 타고 여러 나라를 주유하기도 하였고, 직접 벼슬을 맡아서 자기의 이상을 실현하려고 노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실정치의 벽은 그의 꿈을 실현하기엔 너무나 두터웠고, 많은 좌절과 오해를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의 합리적인 도덕정치철학은 시대를 넘어 후대에 계승되어 한(漢)나라에서 국정이념으로 채택된 이래 동양의 역사상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렇게 위대한 교육자와 뛰어난 정치철학자로서의 일생을 보낸 공자도 인간적으로는 매우 불행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것 같이 어려서 어버이를 여의었을 뿐만 아니라 자기의 아들 리(鯉)와 가장 아끼던 제자 안연(顔淵)을 먼저 보내는 슬픔을 겪었으며, 여러 나라를 떠도는 가운데 양식이 떨어지기도 하고 테러의 위협을 받기도 하였다. 그래서 노년에는 이런 모든 것을 잊고 『시경(詩經)』, 『서경(書經)』 , 『춘추(春秋)』같은 책을 엮고 『역경(易經)』에 재미를 붙여 책을 묶은 끈이 세 번이나 떨어질 정도로 공부하는 한편, 고향의 이상이 큰 젊은이들을 가르치는 일에 전념하다가 기원전 479년 7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br><br>공자는 위정자는 덕이 있어야 하며 도덕과 예의에 의한 교화가 가장 이상적인 지배방법이라고 생각하였고, 그 사상의 중심을 인(仁)에 두었다. 최고의 덕을 인으로 본 공자는, 인은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그의 대표작품인 『논어』는 유가(儒家)의 성전(聖典)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공자의 사상을 가장 잘 드러내주는 책이다. 사서(四書)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이기도 하다. 공자의 혼잣말을 기록해 놓은 것과 제자의 물음에 공자가 대답한 것, 제자들끼리 나눈 이야기, 당대의 정치가들이나 평범한 마을사람들과 나눈 이야기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책의 제목이 『논어』가 되었다고 한다.
목차
<b>[ 한글판 ] </b><br><br>제1편 학이(學而) <br>제2편 위정(爲政) <br>제3편 팔일(八佾) <br>제4편 이인(里仁) <br>제5편 공야장(公冶長) <br>제6편 옹야(壅也) <br>제7편 술이(術而) <br>제8편 태백(泰佰) <br>제9편 자한(子罕) <br>제10편 향당(鄕黨) <br>제11편 선진(先進) <br>제12편 안연(顔淵) <br>제13편 자로(子路) <br>제14편 헌문(憲問) <br>제15편 위령공(衛靈公) <br>제16편 계씨(季氏) <br>제17편 양화(陽貨) <br>제18편 미자(微子) <br>제19편 자장(子張) <br>제20편 요왈(堯曰) <br><br><b>[ 한문판 ] </b><br><br>제1편 學而 <br>제2편 爲政 <br>제3편 八佾 <br>제4편 里仁 <br>제5편 公冶長 <br>제6편 壅也 <br>제7편 術而 <br>제8편 泰佰 <br>제9편 子罕 <br>제10편 鄕黨 <br>제11편 先進 <br>제12편 顔淵 <br>제13편 子路 <br>제14편 憲問 <br>제15편 衛靈公 <br>제16편 季氏 <br>제17편 陽貨 <br>제18편 微子 <br>제19편 子張 <br>제20편 堯曰 <br><br><b>[ 영문판 ] </b><br><br>BOOK I. HSIO R. <br>BOOK II. WEI CHANG <br>BOOK III. PA YIH <br>BOOK IV. LE JIN <br>BOOK V. KUNG-YE CH’ANG <br>BOOK VI. YUNG YEY <br>BOOK VII. SHU R <br>BOOK VIII. T’AI-PO <br>BOOK IX. TSZE HAN <br>BOOK X. HEANG TANG <br>BOOK XI. HSIEN TSIN <br>BOOK XII. YEN YUAN <br>BOOK XIII. TSZE-LU <br>BOOK XIV. HSIEN WAN <br>BOOK XV. WEI LING KUNG <br>BOOK XVI. KE SHE <br>BOOK XVII. YANG HO <br>BOOK XVIII. WEI TSZE <br>BOOK XIX. TSZE-CHANG <br>BOOK XX. YAO YUE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