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인류 외계 이주 프로젝트

인류 외계 이주 프로젝트

저자
과학동아 디지털 편집부 저
출판사
동아사이언스(과학동아북스)
출판일
2013-02-20
등록일
2013-04-25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8MB
공급사
예스이십사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우주 어딘가에 지구와 똑같이 생긴 곳이 있을까? 어릴 적 한 번쯤은 생각해 봤을 이런 생각은 외계 생명체에 관한 호기심과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잊을 만하면 찾아오는 지구 종말, 지구 폭발에 관한 소문은 '지구를 대신하여 살 곳은 없을까'하는 관심으로 확대되곤 한다.<br><br>“인류가 오랫동안 생존하기 위해서는 행성 하나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 언젠가 소행성 충돌이나 핵전쟁 같은 재앙이 일어나면 인류가 멸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가 우주로 퍼져 나가 지구 이외의 개척지를 확립한다면 미래는 안전할 것이다. 태양계 안에는 지구와 같은 행성이 없다. 따라서 우리는 다른 별로 떠나야 한다.”<br>스티븐 호킹 박사는 이와 같은 말로 인류를 향해 경고를 전했다. '출퇴근 한뼘지식' 17번째 주제는 '인류의 외계 이주 프로젝트'로 정했다. 이 책은 은하계 곳곳으로 인류가 퍼져 나간다면 우리에게 당면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물론 인류가 명맥을 이어가 수 있다는 전제에서 시작된다. SF공상 과학에서나 봄 직한 내용 같지만, 이 책은 인류의 외계 이주를 상당히 과학적인 방법으로 접근하고 문제점을 해결하려 한 노력이 엿보인다. 여기에 과학적 상상력과 과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표현한 일러스트는 과학이 주는 딱딱함에서 벗어나 한 편의 소설을 읽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재미를 던져 줄 것이다.<br><br><미리보기><br>마침내 우주로 진출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한 인류는 새로운 터전을 찾기 위해 밤하늘을 샅샅이 뒤진다. 우주의 광활한 넓이를 생각한다면 건초더미에서 바늘 찾기보다 어려운 일이지만, 세계의 뛰어난 망원경을 모두 동원하면 못 찾을 것도 없다. 지구와 같은 작은 행성은 거리에 비해 너무 어두워 모습을 직접 관측하기 어렵다.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오래전부터 행성의 존재를 찾아내는 여러 가지 방법을 생각해 왔다. 이제 천문학자들이 본격적으로 외계행성을 찾기 시작하는데…….<br>태양계에는 태양을 돌고 있는 행성과 그 행성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이 수십 개나 있다. 태양계가 우주에서 유독 유별난 게 아니라면 행성이 있는 별이 어딘가에 또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 옳다. 천문학자들은 천체망원경을 이용해 태양계 밖에서 별 주위를 공전하는 외계행성을 꾸준히 찾아왔다. 1992년 중성자별인 펄서에서 나오는 전파신호의 미세한 변화가 그 주위를 돌고 있는 행성에 의한 효과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최초의 외계행성으로 공식 인정을 받았다. 그리고 2010년 10월 말에는 이미 약 500여 개의 외계행성이 발견됐다.<br>이런 외계행성은 어떻게 찾는 걸까? 먼저 최초로 외계행성을 발견한 방식인 ‘극심 시각 측정법’에 대해 알아보자. 규칙적으로 밝기가 변하는 별이 있다고 하자. 별빛이 최대 밝기에서 최소 밝기로 바뀌는 데 걸리는 시간은 일정하다. 그런데 이 별에 행성이 있으면 별과 행성은 둘의 질량 중심 주위를 서로 마주 보며 공전한다. 태양과 지구도 질량 중심을 마주 보며 공전한다. 다만 질량의 차이 때문에 태양이 움직이는 정도가 너무 작아 눈에 잘 띄지 않을 뿐이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