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United East Asia

United East Asia

저자
이상진
출판사
좋은땅
출판일
2016-04-01
등록일
2016-09-29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56MB
공급사
웅진OPMS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2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The European Union(EU) plays a powerful role as an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community, while ASEAN and Southern African Development Community are actively interacting in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economy, society, and security. Except some global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social issues including youth unemployment and aging population facing a country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ts neighboring countries and thus require collective efforts in working out solutions. As countries are increasingly seeking to enter into multilateral and bilateral FTAs and TPP,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management are emerging as a major concern.
In the same context,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diplomatic exchanges remain brisk between ASEAN and the three major countries in Northeast Asia, i.e. China, Japan, and Korea. As a result, the two regions have formed a close relationship, which makes it relatively easy for these two regional blocs to coordinate their policies and sometimes makes it inevitable to work closely together and deal with issues collectively. Regional issues are discussed and addressed regularly from the economic and diplomatic perspectives within the framework of ASEAN+3. However, countries of ASEAN+3 have yet to determine the common goal, philosophy and way of thinking to share as a regional community, from a long-term and equitable perspective, which is essential to foster comprehensive discussions on major social issues including youth unemployment, social conflict, and economic development. In addition, they have neither a consensus nor policies in place to this end.
Although East Asia now occupies a significant part of the global economy and politics, the region has rarely engaged in collective discussions over how issues that affect East Asia as a regional community can be coped with from a long-term standpoint. This is partly due to the intertwined colonial history of the region. In other words, some countries were under the colonial rule of others. Being in charge of ASEAN affairs at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of Korea, after having worked for over 25 years in a policy decision-making circle in the field of promoting cross-border cooperation at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OECD, I have always felt urged to come up with a framework of discussion or analysis with which to collectively address key social issues of East Asian countries.
This book attempts to suggest that major social issues in ASEAN countries, China, Japan, and Korea, including youth unemployment, aging population, polarization, social conflict, HR development, and long-term growth momentum, should be approached from a socio-cultural perspective by understanding the socio-cultural identity of individual countries, and that regional concurrent planning can prove to be a valuable tool in finding solutions. East Asia as an integrated regional community should discard the framework in which advanced countries tend to economically lead or dominate less advanced countries in the region, without making due efforts to work out a consensus. Instead, countries should stay on the same wavelength and focus on finding mutually-beneficial solutions to major social issues.
I feel deeply indebted to Professor Shin Wan-sun of Sungkyunkwan University for inspiring and encouraging me to write this book. I would like to thank Professors Youn-Sung Kim, Dong-jun Kim, and Sung-uk Lim for their useful comments. I sincerely hope that this book can shed a new light on the growth of East Asia as a regional union, and that the techniques and frameworks used in this book can provide some guidance for future discussions on social issues in other regional communities including Africa and the Middle East.
------------------------------------------------------------------------------
이 책은 ASEAN 국가 중 싱가포르?태국?말레이시아?베트남?인도네시아?필리핀과 한중일 삼국의 총 9개국의 청년실업?고령화?양극화?갈등구조?인재양성?장기 성장의 확보라는 주요 6가지 사회문제를 해당국의 사회문화적 정체성과 문제를 파악하여 제시하고 이를 역내 포괄적 동시기획을 통해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동아시아의 선진국이 개도국을 일방적?경제적으로 리드하거나 압도하는 프레임워크의 탈피하고, 같은 눈높이에서 사회 주요이슈에 대한 상호 호혜적인 해결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의 특징 중 한 가지는 정확한 사회문제 인식과 국가 정체성의 확인과 강약점을 파악하기 위해 최초로 9개국별로 50~150명의 대학생들과 KOTRA 무역관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작성된 것이라는 점이다. 설문조사 결과와 필자의 경험을 토대로 동아시아 9개국의 국가별 정체성(state identity) 키워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전략적 사고, 일본-조화와 치밀함, 싱가포르-(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한) 치밀한 정책기획, 태국-개방성, 베트남-역동성(외유내강), 말레이시아-융합, 인도네시아-다양성, 필리핀-복원력(resilience), 한국-높은 자유도이다.

아시아 9개국의 6대 사회 현안과제 중 중요성은 높지만 해결가능성이 비교적 낮은 이슈들은 다음과 같다: 중국-청년실업, 양극화; 일본-고령화; 싱가포르-고령화와 다소 약하지만 사회 그룹별 소득양극화; 태국-양극화와 장기 경제성장의 확보문제; 베트남-양극화; 말레이시아-양극화, 사회갈등구조; 인도네시아-청년실업, 양극화; 필리핀-청년실업, 양극화 고착; 한국-특히 심한 청년실업, 양극화이다. 제 2장에 기술된 6대 사회현안문제별로 정리한 9개국간 설문조사 결과 비교도를 살펴보면 한국 젊은이들의 청년실업, 양극화, 장기 성장의 확보문제를 매우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이런 문제에 대한 국가의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타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기대치나 좌절감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인들의 비판적인 시각과 높은 기대치로 인해 저조한 평가결과가 나온 것으로 자위하기에는 그 차이가 매우 크므로 행정부, 국회, 기업 등의 총체적이면서도 신속하고 장기적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동아시아 9개국이 협력 정신에 동의하고 지속가능한 이익의 공유라는 가치를 지향한다 하더라도 이를 실제로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 실현방안이 중요하다. 이런 실현방안은 다자간(multi lateral) 동시에 공동기획(concurrent planning)이나 동시 공동개발(simultaneous co-development)이 필요하다. 이제 단순히 벤치마킹을 뛰어 넘어 동아시아 주요국가와 한중일 3국간의 지역내 동시기획(regional concurrent planning)을 실행방안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새로운 개념을 바탕으로 United East Asia를 추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책은 포괄적 역내동시기획과 관련하여 정보공유 센터 설립, 실무급의 정기적 동시기획회의, ‘우리 감정(we-ness)'과 같은 협력 정신, 경제?안보?사회 규칙을 제정하고 이를 강제할 메커니즘의 정립, 상호 고용 기회를 허용하고 인적 물적 교류를 강화하는 것, 청년들에게 필요한 역량을 개발해 주는 것, 반부패 공동연대 및 대응을 시급하고 중요한 7가지를 정책대안으로 제안하였다.

연관도서 연관도서를 소개해드립니다!
저자동일
함께 대출한 도서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