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 모르는 인문학의 보고, 나!
"인문과학 또는 인문학(人文學, 영어: humanities)이라는 말은 인간의 사상과 인간의 문화를 연구하는 인간의 정신활동에 관련된 학문이다. 동양에서는 천문학, 지리학과 함께 3대 학문 중 하나로 존중 받아 왔다.
인문학이 새롭게 태어난 말이 아님에도 최근 들어 고단한 현대인의 마음속으로 점점 더 파고들고 있다. 마치 추운 날 이불 속으로 파고들듯 인문학을 통해 정신적 위로를 받으려는 사람들이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우리의 경제는 놀랄 만큼 성장했고 예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잘 살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기가 더욱 각박해지고 인정이 메말라가는 등 사람 사는 재미가 없다고 호소한다. 세상을 비관하여 자살하는 사람도 있고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한 사람이 정서적인 외로움을 호소하기도 한다.
사람은 생각하는 동물이다. 경제적으로 잘 살게 되었어도 인문학의 배고픔을 해소해 주지 않으면 허전함으로 인해 진정한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 눈부신 과학의 발전만으로는 이를 해결하지 못한다. 지속 가능한 미래기술의 발전은 인문학이 바탕이 되어야 진장 발전된 과학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사람 살아가는 인문학 이야기는 누구나 할 수 있다. 하지만 책으로 익힌 지식의 인문학보다는 세상을 독하게 살아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 해야 제 맛이다. 영웅들이 토해낸 무용담은 읽을 때는 통쾌하지만 책을 덮으면 남의 이야기이자 나는 그렇게 할 수 없다는 무력감만 들게 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인문학 이야기를 해보자. 이만하면 우리도 세상 잘 살아 왔지 않은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크게 자랑할 성과도 못 낸 인생이지만 그렇다고 남에게 손가락질 받을 만큼 잘못 살지도 않았다. 어쩌면 나만 모르는 인문학의 보고가 나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번쩍 들었다.
평범한 사람들이지만 나름대로는 한가락 하던 15명의 저자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글로 써보기로 했다. 독자에 따라서는 저자들의 이야기가 특별하지도 않고 시시한 이야기로 보일까 봐 사실은 두렵다. 하지만 저자들은 세상에 대고 하고 싶어 못 견딜 이야기를 담담히 실타래 풀듯 풀어냈다.
행복은 하늘의 구름처럼 잡을 수 없는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마음속에 있다. 남을 이해하기 보다는 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는 기본적인 생각이 스스로를 행복에서 멀어지게 하는 원인이다. 해결책은 간단하다. 상대방을 변하게 하려는 시도보다 내가 변하면 빠르고 편하다. 「워즈 워드」는 ‘좋은 사람의 삶은 사소하고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거나 잊혀 진 친절과 사랑의 행동들로 대부분 채워진다.’ 라고 말했다. 우리는 좋은 사람들이라고 스스로를 위하는 데서부터 행복은 시작된다. 나만 모르는 인문학의 보고가 나 자신인지도 모른다.
군락 지어 살고 있는 토끼풀이라고도 불리는 클로버만 보면 누구나 행운의 꽃말을 갖고 있는 네잎클로버를 찾으려 한다. 네잎클로버를 찾으려다 보면 발에 무수히 밟히는 세잎클로버의 꽃말이 ‘행복’ 이라는 것은 미처 알지 못한다. 어쩌면 우리는 바보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허황한 행운을 찾아 바로 앞에 또는 옆에 있는 행복을 짓밟으면서도 이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진정한 인문학을 이해하려면 사고의 깊이와 폭을 확장해야 한다. 많이 보고 많이 듣고 많이 해 보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다 해보기는 불가능하다. 잠깐 생각이나 행동을 멈추고 남의 글을 읽어야 한다. 남의 이야기를 들어보면서 자신의 인문학적 수준을 정리해 보는 여유가 필요하다.
평범한 사람의 보편적인 이야기를 독자들이 읽으면서 나의 이야기로 공감해 주길 바랄 뿐이다.
"